티스토리 뷰
최근에 씨앗 나눔을 받으면서 반송이라는 제도를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반송이란 꽃씨나 식물의 씨앗을 무료나눔을 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규격 봉투에 반송용 봉투와 씨앗을 넣을 비닐주머니를 함께 동봉해서 발송을 하는 방법입니다.
무료나눔을 하시는 분들은 우편으로 받은 반송용 봉투에 동봉된 비닐주머니에 씨앗만 넣어서 우체통에 넣기만 하면 되니 무료 나눔을 할 때 노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여기서 반송용 봉투에 보내는 사람은 무료나눔을 하시는 분이 되고 받는 사람에는 제 주소와 이름을 써주면 되는겁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우편요금 즉, 우표가격은 반송용 봉투에는 씨앗이 동봉이 되어 반송이 되기 때문에 규격외우편물로 50g 까지 발송이 가능한 470원짜리 우표를 붙여서 보내줘야하고 반송이 봉투 (반송용 봉투와 씨앗을 넣을 비닐주머니를 보내는 봉투)를 발송할 때는 5g초과 ~25g 까지 발송이 가능한 380원짜리 우표만 붙여서 우체통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반송이 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을 드렸는데 그럼 요즘에는 우표를 어디서 사면 되는지가 궁금하시죠? 예전에는 문방구나 팬시점에서 많이 팔았었는데 최근에는 우표를 사는 곳이 어딘지 도무지 알 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알아보니 우체국에서 살 수 있는데 우체국은 6시까지밖에 안해서 저희같은 직장인들은 우체국에서 구매를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좀더 알아보니 인터넷으로도 인터넷 우체국에 접속을 해서 출력을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어서 오늘은 인터넷으로 우체국 사이트에 접속해서 우표를 출력하는 방법과 근처 우체통을 찾는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우표 출력하기
인터넷 포털에 인터넷우체국으로 검색을 하셔서 인터넷우체국 사이트로 접속을 해줍니다.
인터넷우체국의 홈페이지 메인화면입니다. 상단의 우표.엽서.축하카드 -> 우표류 -> 인터넷우표로 순차적으로 선택을 해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인터넷우표 신청화면으로 접속이 되는데 만약 인터넷우체국에 회원으로 가입이 되어 있다면 로그인을 한 후에 신청을 하시면 좀더 간단히 우표출력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는 일단 비회원으로 신청하는 방법으로 보여드릴께요.
우선 인터넷우체국 이용약관과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안내에 동의를 하시고 신청 비밀번호를 입력하신 후 화면의 아래로 스크롤해 줍니다.
그럼 우측에 우편규격을 선택하는 부분에서 규격우편물 - 5g초과 25g까지의 380원짜리 우표를 선택해 주시고 선택사항에서 일반통상을 선택해 주시고 아래 부분으로 내려갑니다.
위의 규격은 반송이, 즉 반송용 봉투와 씨앗용 비닐봉투를 발송할 때 부착되는 우표이고 반송이 안에 넣어서 발송할 반송용 봉투에는 규격외 우편물 - 50g까지 발송이 가능한 470원짜리 우표를 부착해야 하니 각각의 규격으로 이 과정을 두번 반복하시면 됩니다.
화면 아래로 내려오면 보내시는 분과 받는 분을 입력하게 되어 있는데 어차피 봉투에 주소는 적어줘야 하니 대충 적어주면 됩니다.
보내시는 분과 받는 분을 입력한 후 받는 분 목록에 추가 버튼을 누른 후 화면 아래의 신청 버튼을 눌러주면 신청이 완료되며 결제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결제는 신용카드와 무통장입금, 즉시계좌이체와 휴대폰 그리고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 등으로 가능한데 저는 휴대폰으로 결제를 했습니다.
휴대폰을 선택하고 화면 하단의 결제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신청내역을 다시한번 확인을 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신청비밀번호는 우표출력이나 결제취소 등에 꼭 필요하니 반드시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신청정보를 확인하셨으면 파란색 확인 버튼을 누르면 우표 신청이 완료됩니다.
그럼 이제 신청한 우표를 출력해야 겠지요?
신청한 인터넷 우표의 출력은 신청화면의 상단에 출력을 클릭해 주시고 신청시 입력했던 보내는 분의 이름과 접수번호 그리고 주문비밀번호와 연락처를 입력해 주신 후 검색 버튼을 눌러주시면 조회가 됩니다.
해당 신청내역을 체크해서 선택해 주시고 화면 하단의 인터넷우표 출력 버튼을 눌러주시면 프린트 화면이 나타납니다.
접수번호가 기억나지 않으실 경우는 인터넷우체국 메인화면 상단의 메뉴중에서 우편 -> 나의 이용정보 -> 비회원이용내역조회에서 보내는 분의 이름과 신청비밀번호와 연락처를 입력하시고 서비스종류를 인터넷우표로 선택해 주신 후 검색을 하시면 접수번호가 조회됩니다.
간단한 안내와 함께 출력테스트 또는 테스트 없이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데 저는 테스트 없이 출력을 선택해 주었습니다.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은 출력테스트를 먼저 하셔서 프린트 오류로 인해 결제한 우표의 출력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우표는 이런 모양으로 출력이 됩니다. 화면 상단의 인쇄 버튼을 눌러서 출력을 하시고 잘라서 구격봉투의 우측 상단에 붙여주시면 됩니다.
우체통 위치 찾기
규격봉투에 이터넷 우표를 출력해서 부착하셨다면 이제 우체통에 넣어주셔야 하는데 예전에는 많이 있던 우체통이 최근에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우체통을 어떻게 찾으면 될까요? 찾는 방법은 인터넷 포털의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지도에서 검색창에 '우체통'으로 검색을 하시면 아래와 같이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우체통이 검색이 됩니다.
세종시청 근처에 있는 우체통들이 검색이 되었는데 가장 가까운 우체통의 위치는 고속시외터미널 근처에 있네요.
하지만 우체통을 검색하실 때 우체통으로만 검색하지 마시고 우체국을 검색해 보시면 좀더 가까운 곳에 우체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우체국에는 반드시 우체통이 있는데 우체통으로 검색을 하면 우체국은 검색이 되지 않더라구요. 아시겠죠? 우체통 위치확인은 반드시 '우체통'과 '우체국'으로 검색하기. 꼭 기억하세요.
그럼 이상으로 우표사는 곳과 우표파는 곳을 찾기가 어려운 요즘, 인터넷 우체국을 통해서 인터넷우표를 인쇄하는 방법과 근처의 우체동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표가 필요하신 분들과 우편을 발송하기 위해서 우체통의 위치를 알고 싶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정보의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버노트(Evernote) 두계정 하나로 합치기, 계정통합 방법 (0) | 2020.12.30 |
---|---|
멜론플레이어 다운로드 및 사용법, 이용권 정리 (0) | 2020.12.17 |
르노 QM6 디스플레이스타일 총정리 (2) | 2020.11.11 |
소득없음 사실증명원 집에서 간단히 발급하세요~ (0) | 2020.11.10 |
종합소득세 신고내역 총수입금액 확인방법 (3)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