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상의 여행

정부의 공공택지 공급물량 축소에 따른 부동산 투자의 방향

황제0206 2016. 8. 29. 15:52
SMALL

안녕하세요~

논산에 전원주택을 꾸며가고 있는 

행복한 여행자 입니다.






2016825일 정부는 한은의 가계대출 

합산결과에 대해서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 하였는데요.


2016/08/25 - [돈벌이] - 대한민국 가계대출 1257조!!! 정부의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자.



위의 포스팅 내용에 좀더 

추가된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










1. 2017년까지 공공택지 공급물량 축소

2. 보증기관(HUG)PF 보증심사 강화, 분양보증 예비심사 도입

3. 미분양관리지역 확대

4. 주택시장 교란행위 현장점검

5. 은행/보험 주택담보대출 분할상환 목표치 상향

6. 공적 보증기관 중도금 보증 한도 통합(인당 2가구당 2)

7. 집단대출 소득자료 확보

8. 잔금대출 구조개선(중도상환 수수료 면제)

9. 전세대출 부분 분할 상환 유도

10. 신용대출 관리 강화


가장 중요한 내용은 공공택지 공급물량 축소입니다


결국 부동산 공급물량 축소로 신규로 발생할

가계부채를 억제하겠다는 건데요...


이 대책을 바라보는 입장은 주택소유자와

무주택자에 따라 달라질것 같기도 합니다.


최근의 무분별한 택지공급에 의한

분양물량 과잉을 보면서...

 

기존 주택 소유자들은 공급과잉에 따른 부동산 침체를

우려하고 있었을 것이며,

무주택자들은 과연 지금이 집을 구입해야 하는 

시기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이번 정부의 조치로 주택소유자들의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는 어느정도 사라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반면 무주택자들의 마음은 급해질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부동산 투자나 주택구입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요?


만약 청약 순위가 높은 1순위 통장이 있으시다면

당연히 입지가 가장 좋은 곳에 청약을 하셔서

당첨을 받으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겠고요.


순위가 낮거나 매매쪽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분양권시세와 기존 주택의 매매가 사이의 갭이 

크게 벌어진 곳의 기존주택 매입에 관심을

가지시면 좋을 듯합니다.


이유는

더이상의 분양 물량이 없다면 기존주택의 매매가가

분양가와 키를 맞추게 될것이기 

때문입니다.


다수의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이번 기간이 집을 살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고 말들을 합니다.


이번 기간이 지나면 부동산 가격은 

매수하기엔 부담되는 가격으로 올라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물론 이 예상이 맞을지 틀릴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공급이 줄어들면 가격이 올라가는것은 

당연한 결과겠지요.


모쪼록 정부의 대책을 살펴 보시면서 현명하게 

판단하셔서 내집마련과 투자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클릭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LIST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